Skip to main content

Posts

근본도 없는 이념화가 빚어낸 슬픈 오해

경제학에서 배우는 거시경제에서의 정책당국이 가지고 있는 카드는 기본적으로 두가지. 정책당국(중앙은행)이 금리를 조정하여 경기에 대응하는 것은 통화정책이고, 정책당국(정부)이 채권발행을 통해서 조달한 자금이나 걷어진 세금으로 경기에 대응하는 것은 재정정책이 그것이다. 통화정책은 궁극적으로 정부가 아닌 시중의 돈을 움직이기 위함이다. 금리를 낮추면 개별 경제주체중 개인과 기업이 돈을 쓰게 만드는 것이고, 재정정책은 결국 정부가 돈을 쓰는 것이다. 결국은 시중에 돈을 푸는 방식의 차이이며, 관리되는 지표가 탈이 안가고 문제가 되지 않게끔 딸자식 키우듯 그렇게 조심조심 그렇게 관리되면 된다. 이 모든 정책은 사실 keynesian에 가깝다. 모든 것을 시장에 맡겨야 하며 정부의 역할은 최소한으로 가져가야 한다고 보는 것이 보수의 시각 이다. 그래서 그들은 정부가 아닌 대학에 몸을 담고 있고, 정부의 일을 하는 경제학자는 거의 다 keynesian이다. 그런데, 한국은 희한하게도 집값을 높이는 정책을 하면 다 보수 가 된다. 근본도 없는 이념화가 빚어낸 슬픈 오해 다. 경제정책은 새누리가 집권을 하든, 새민련이 집권을 하든 사실 별반 다를게 없다는게 내 시각이다. keynesian의 생각에 근거하여 정부가 할 수 있는 최적의 경제정책을 펴는 것이다. 이러한 경제정책에 대한 우리의 오해는 한국사회 내 깊히 뿌리박힌 부동산에 대한 애증, 갖고 싶으나 가지기 힘겨운 탐욕의 아이콘이 부동산이다 보니 속담에도 나오듯 '사촌이 땅을 사면 배아프다'는 심리가 작용한 바가 크다.
Recent posts

원인과 해결책의 혼란

일반적으로 한국의 진보(사전적 의미가 아님)라 불리우는 사람들의 주장은 부동산과 같은 자산가격을 오르게 할 게 아니라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늘려야 된다고 아우성이다. 그런데 참 이게 말장난 같은게, 그건 해결책이 아니라 해결이 된 결과라는 것을 아는지 모르겠다.  그렇게 가계의 가처분 소득을 올리기 위해서 어느 정부든 여러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방안을 구체적으로 내놓아야 하는 것은 거시경제 운영의 기본이며, 지금의 보수라 자처하는 정부(사실 진짜 보수는 철저한 시장주의자들이다)가 지금 여러 방안들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이 지금하는 정책들은 지금 정부가 좌파 정권이라도 해야 하는 지극히 교과서적인 정책들이다. 돈이 없는 게 문제의 원인이라고 해서 돈이 생기는게 해결책이라고 한다면 참 답답한 소리다. 뭘 하자는 건지 모르겠다.

가계부채 이야기

요즘 정부나 한국은행이 경기회복을 위한 저금리 기조로 가는 것에 대해 단순히 집값이 올라가는 게 싫은 좌파는 가계부채 증가를 이야기하면서 반대한다. 하지만 가계부채는 그들이 좋아하는 노무현 정권에서 가장 가파르게 올랐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집값 폭락한다는데 집을 사야 하나?

네부칼럼: 조주현 - 건국대 부동산 . 도시연구원 모처럼 주택시장에 훈풍이 부는가 싶더니 최근에는 내후년 집값 폭락을 경고하는 소리가 들리고 있다. 전세금 인상으로 고통을 받다가 거액의 대출금을 안고 집을 산 사람들에게는 가슴이 덜컥 내려앉는 소식이다. 더욱이 이러한 경고는 사설 연구소가 아닌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에서 들려온 소식이기에 더욱 두렵게 다가온다. 이 시점에서 과연 집을 사야 하나? 먼저 집값폭락의 근거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우선은 인구구조의 변화를 들고 있다. 구체적으로 2017년부터 생산가능 인구(15~64세)가 줄어들면서 인구구조가 유사한 일본과 유사한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경제성장률이 상당기간 연 3% 초반에서 횡보할 가능성 때문에 거시경제 상황이 부동산 가격을 밀어 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며, 셋째로는 최근의 집값회복 내지 상승의 영향으로 금년에만 40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는 주택 신규분양 물량의 과다 공급을 들고 있다. 실제로 2015년 2월 기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인허가 물량은 3만 3301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12.1% 상승하였고 이는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저출산 고령화로 대변되는 인구구조의 변화는 이미 2010년대 초반부터 민간연구소의 연구자들로부터 향후 주택시장에 심대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지만 그 영향의 결과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었다. 전체적인 인구증가가 상당히 완화되고 인구감소와 고령화를 걱정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소형가구의 증가추세와 고령층 주택소비조절의 지연으로 주택수요가 획기적으로 감소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웃 일본의 경우 전국적으로 공가율이 13%를 상회하지만 매년 90만호 정도의 신규주택이 지어지고 시장에서 소화되는 것을 보면 인구학적인 변화는 주택의 양적 측면보다는 질적 측면에서의 주택수급의 불일치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 한 가지 분명한

가구원수별 구성비 추이

주거 형태별 가구수